관리 메뉴

블록체인 주변 이야기

FACTBLOCK : 블록체인-ICO 산업 팩트 공유 플랫폼 팩트블록 본문

ICO 정보제공 서비스

FACTBLOCK : 블록체인-ICO 산업 팩트 공유 플랫폼 팩트블록

STIMA 2018. 7. 23. 00:00
반응형

블록체인, 코인을 통해서 일반인들이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영역은 많지 않습니다. 사업으로 본다면, 직접 코인을 발행하거나, 코인 발행을 돕는다거나, 블록체인을 대신 개발을 한다거나, 코인을 평가 하거나, 채굴기를 만들어 팔거나, 채굴장을 운영하거나, 거래소를 운영하는 등의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개인은 직접 채굴을 하거나, 트레이딩을 하거나, ICO에 참여하거나, Faucet에 참여하는 정도가 되겠습니다. 암호화폐로 수익을 올리는 방법에 대해서는 2017년에 정리해 둔 글이 있기는 합니다. 궁금하신분들은 참조하시면 되겠구요.


이중에서 ICO는 상당히 많이 위험한 방법입니다. 주식처럼 자산의 가치가 있는것도 아니고, 백서한장, 팀의 얼굴이 있는 프로필사진 한장만 보고 투자를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죠. 불행인지 다행인지, 최초의 ICO였던 이더리움에 투자했던 참여자들은 소위 대박을 터뜨렸고, 바로 그 뒤를 이었던 코인들도 몇천에서 몇만 퍼센트의 수익을 올렸습니다. 그로인해, ICO에 수 많은 투자자들이 몰려들기 시작 했는데, ICO를 시도하는 코인과 투자자들이 늘어나기 시작하자, 사기꾼들이 나타나기 시작 했습니다. CENTRA가 대표적인 사례이죠. 또는, 팀의 의지와 관계없이 상황에 의해 프로젝트가 무너지는 경우도 생겨났습니다. 그러다 보니, 중국이나 한국에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ICO를 금지했으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ICO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해결하려는 이들이 생겨났습니다. 


당장 코인에 투자를 하려고 하는 액셀러레이터들은 본인의 필요에 의해서 코인평가팀과 평가기준을 세워서 투자를 하고 있으며, 수많은 작은 평가회사나 평가사이트에서 자신들만의 평가기준을 공개하기도 합니다. Github를 이용하기도 하고, SNS활동을 이용하기도 하죠. 전문가들의 점수를 합치기도 하구요. 어떤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아직까지는 명확한 기준이 있는것은 아닙니다.



FACTBLOCK은 블록체인 업계에서 유명한 업체들과 함께 ICO를 평가하여 공유하는 서비스를 런칭 하였다며, 대대적으로 언론홍보를 하였습니다. 비욘드블록체인 한국쪽 담당이기도 한 이 회사에서는 팩트블록 자체평가팀, HASHED팀, Crypto Briefing팀, be Success팀 이렇게 4개의 팀이 합류 하여, 각 ICO별로 추천하는 코인에 대해 각팀의 스탬프를 찍어 줍니다. 그래서 이들을 스탬퍼라고 부르는데요. 벌써 부터 한계가 보여집니다. 각 팀별로 스탬프가 찍혀 있기는 한데, 공동으로 스탬프가 찍혀 있는 ICO는 없다는 것입니다. 공동으로 평가해서 공동으로 진행하는 프로젝트가 아니라, 개별 회사별로 자신들이 투자한 코인들을 홍보하는 자리가 되는 셈이 되는 것이죠.





ICO 리스트의 메뉴로 들어가보면, 명확하게 보여집니다. Cosmochain, ICON, Medibloc, Bryllite 등 저도 언급했었던 코인들이 이들 회사들에 의해 투자를 받았던 모양 입니다. 현재 까지는 19개에 대한 ICO에 대해서만 스탬프가 찍혀 있구요. 나머지 코인에 대해서는 스탬프가 찍혀 있지는 않습니다.





FACTBLOCK 서비스의 취지는 좋지만, 아직까지는 다른 ICO사이트에 비해 특징이 느껴지지 않습니다. 평가방법을 공개하는 것도 아니고, 평가결과를 세부점수를 공개하는 것도 아니며, 단지 스탬프를 찍었다는 것만 공개한다는 것은 "우리가 여기에 투자했어" 라고 하는것과 크게 다르지 않는것으로 보여 집니다. 자신들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도라고 할 수 있겠네요. 그렇다고, 얼마나 투자 했다고 공개하는 것도 아니고, 뭘까요? 


"우리가 이렇게 코인평가도 하고, 투자도 하니, 능력있는 코인들 우리 찾아와봐 우리가 평가해줄께, 또 알아? 우리가 투자할지도 모르지!!" 이런 컨셉의 서비스일 가능성이 높은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CO를 평가하는 객관적인 지표가 부족한 현 상황에서는 이런 도구라도 참조를 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