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프리비트코인
- 비트코인
- 가상화폐
- 모네로
- 코인마켓캡
- 마이닝풀허브
- ICO
- monero
- 나이스해시
- miningpoolhub
- 채굴
- nvidia
- 블록체인
- minergate
- 마이너게이트
- 마스터노드
- Bytecoin
- nicehash
- BcN
- bitcoin
- ccminer
- eth
- 이더리움
- XMR
- binance
- 무료비트코인
- 바이낸스
- freebitcoin
- mining
- 바이트코인
목록steem (6)
블록체인 주변 이야기
요즈음 IT서비스 중에서 최고의 서비스를 찾는다면, YouTube라고 해도 반대하지 않으실 것으로 생각 합니다. 유투브에서 고수익을 올리는 유투버들이 나오면서, 블로거들 중에서도 유투브로 넘어가신 부들이 상당히 많이 있으시죠. 겸업을 하고 계시는 분들도 있구요. TV에서도 유투버들이 출연하는가 하면, 문제를 일으켜서 언론에 오르내리기도 하죠. 그만큼 유투버들의 영향력이 상당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전세계적으로 동영상 서비스로 1:1로 대적할 만한 곳은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유투브가 차지하고 있는 영역이 동영상 콘텐츠의 전체를 포괄한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방대하기 때문 입니다. 게임영상 부문에서는 Twitch와 경쟁하고 있고, 국내 1인 방송 분야는 아프리카TV와 경쟁을 하고 있죠. 중국에는 진출하..
전세계의 웹사이트의 순위를 보여주는 Alexa 에 따르면, 유투브는 전세계 인터넷 사이트중에서 Google에 이어 2위를 차지 하고 있습니다. 인터넷의 시작페이지를 구글로 시작하던 사용자들이 성인이라면, 요즘 청소년들은 시작페이지를 구글로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웬만한 정보를 유투브를 통해서 습득하고, 유투브를 통해서 공부하고, 유투브 댓글로 소통하는 세상이라고 할 만 합니다. Youtube의 영향력은 점점 커지면서, 유투브에서 활동하는 유투버들(한때는 아프리카TV에서 활동 하기도 했음)이 이제 공중파에도 나오고, IPTV의 고정채널로 나오면서 영향력이 더욱더 상승하고 있습니다. 요즘 시작한 JTBC의 랜선라이프에 나오는 유투버들은 이미 연예인급이라 할만한 사람들이죠. 그만큼 동영상 채널의 영향..
블록체인 기반의 서비스 중에서, 현실과 가장 가까운 서비스들 중에서 아직까지 크게 성공했다고 여겨지는 서비스들은 없는것 같습니다. 특히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STORJ나 SIA 같은 서비도 서비스 수준이 많이 부족한 편입니다. 그나마 STEEM의 경우 웬만한 블로그 서비스 못지 않게 콘텐츠가 등록되고 콘텐츠를 등록한 만큼, 코인으로 보상으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현실에 직접 연결된 블록체인 서비스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STEEM에 대해서 소개해 드린적이 있었는데, 정작 저는 STEEM에 회원가입만 하고, 본격적으로 활동을 하지는 못했습니다. 현재 사용하는 티스토리의 글을 스팀에 그대로 올릴 수는 없고,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스팀까지 운영하기는 너무 힘들다는 생각을 했기 때문입니다. 그..
가상화폐와 관련한 서비스 중에, 가상화폐가 오프라인에서 사용되는 곳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Coinmap.org 라는 서비스 인데요. 비트코인을 실제로 사용할 수있는 업소의 정보를 제공해 주었습니다. 그런데, 가상화폐의 가격이 널뛰기 하듯 하다 보니, 일본에서는 우후죽순 생겼던 비트코인 수령업소들이 하나둘씩 받지 않게 되었습니다. 그 배경에는 일본 코인체크사에서 NEM 해킹 이후로 심해졌다고 합니다. 아직까지는 가상화폐가 오프라인 영역에 직접적으로 활용되는 사례가 나타나기 힘든 상황입니다. 그러나 방향을 살짝 돌려서 보면, 직접 가상화폐를 사용하는 곳의 정보가 아니더라도, STEEM이라는 가상화폐 기반의 컨텐츠 플랫폼에 등록된 맛집의 정보를 모아서 보여줄 수는 있었던 것입니다. 이 서비스의 명칭은..
가능하면, 코인의 가격을 배제하려고 하는데, 이번 코인만큼은 그럴 수가 없게 되었습니다. 왜냐하면, 코인의 가격이 너무 많이 급상승했기 때문에, 올라도 너무 올랐죠. 한달전 $0.002 하던, 코인이 한달만에 0.046 이나 되었으니, 뛰어도 너무 많이 뛰었습니다. 그래서 도대체 이 코인인 무슨코인이길래 이렇게 오를 수 가 있는거지? 하고 살펴 보았습니다. 일단, 채굴되는 코인은 아닙니다.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상태로, 코인이 아닌 토큰으로 상장되어 거래가 되는것이죠. 상장되어 있는 거래소를 쭈욱 살펴 보세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규모가 있는 거래소에는 없습니다. 중소거래소, 신규거래소, 중국거래소에 상장이 되어 있습니다. 신규 토큰이기에 거래소에 상장하기 위한 요건이 안되기도 할 것입니다. 현재 ..
일반적으로 스팀이라고 하면, 게임 플랫폼 Steam을 떠올리시는 분들이 많으실겁니다. 제가 오늘 이야기 하려는 스팀은 Steem 입니다. 도메인이 steemit.com 이기 때문에, 스팀잇이라고 도 합니다. 이 스팀이라는 코인이 나온지는 1년여 정도 되었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coinkorea.info 운영팀도 steem에서 활동하시던 분들이 모여서 진행 하시는 걸로 알고 있고, 요즘 코인에 관한 괜찮은 콘텐츠들의 상당수가 steemit을 통해 배포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스팀(steemit)이 무엇이길에, 여기에서 사람들이 모이고, 양질의 콘텐츠르를 배포하는 것일까요? 스팀의 역사까지는 아니라도 제가 옆에서 지켜본 것에 간단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스팀이 처음나온건 2016년 3월 무렵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