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마스터노드
- freebitcoin
- nvidia
- 비트코인
- ccminer
- 바이트코인
- 채굴
- eth
- 마이닝풀허브
- nicehash
- miningpoolhub
- 모네로
- BcN
- 블록체인
- 무료비트코인
- 코인마켓캡
- 프리비트코인
- bitcoin
- 이더리움
- 가상화폐
- 마이너게이트
- minergate
- ICO
- 바이낸스
- binance
- monero
- XMR
- Bytecoin
- 나이스해시
- mining
- Today
- Total
목록코인 소개 (72)
블록체인 주변 이야기
채굴75님께서 시간 날 때 알아봐 달라고 하셨는데, 제가 새로운 코인이라고 하면, 열심히 알아보고 싶어 집니다. 제가 지금 시점에 도전하면, 수익을 얻을 수 있을까? 판단해 보기 위해서 이겠죠. 코인의 이름이 "타임이즈머니 Time is Money" 코인 입니다. 이름이 독특 하죠? 이코인의 슬로건은 "Smart way to manage your time" 으로, "당신의 시간을 현명하게 관리하는 방법" 정도로 해석이 됩니다. 이 코인(서비스)가 하려고 하는 것은, 원격으로 시간 요율로 컨설팅을 하니, 사업가, 재무, 세무, 번역, 교사를 위한 솔루션 입니다. 코인의 이름을 들으면서, 길게 보기보다는 잠깐 머물다가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럼 하나씩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TimeIsMoney S..
Dero(데로코인)을 한마디로 표현하면, 세상에서 제일 빠른 익명성 블록체인 입니다. 데로 코인 홈페이지에서 "World's Fastest Anonymous Blockchain"라고 써 놓았습니다. 간단합니다. 그런데, 세부단어들이 제목에 많이 들어갑니다. DERO의 특징을 만들기 위한 필요한 기술들을 열거해 놓은 것이죠. 그 중에서 가장 앞에 나오는 DAG(Directed Acyclic Graph)라는 알고리즘은 비순환 그래프 기술을 사용하기에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DAG에 대해서는 DAG알고리즘이란 무엇인가? 를 참조하세요.) 그 다음에 나타나는 단어는 Cryptonote 입니다. 이 알고리즘은 Monero, Bytecoin 등에 익명성 코인에서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세번째는 Bulletproof..
저널리즘의 위기라는 말 많이 들어 보셨을 겁니다. 저널리즘의 위기를 표현할 때 사용되는 예로 언론사와 광고주 사이의 종속관계를 많이 듭니다. 언론사는 뉴스로 수익을 올리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종이신문이 대표적인 예죠. 구독료를 받고 신문을 배달해 줍니다. 잡지도 새로운 소식을 정리해 인쇄하여 배포하면, 독자들이 잡지를 사서 읽습니다. 방송뉴스는 조금 다릅니다. 뉴스 앞뒤로 광고를 내보내서 광고료를 받고 뉴스를 내보냅니다. 그런데, 뉴스를 만들어 내보려 하다 보니, 광고주에게 영향을 미치는 뉴스입니다. 진정한 언론이라면, 이 뉴스를 제대로 내보내야 하겠지만, 현실에서는 이미 언론사와 기업은 관계가 고착이 되어 있고, 영향력이 미치고 있습니다. 우스개 소리로 S기업에게 나쁜 뉴스는 좀처럼 작성되지도 않고, ..
펀디엑스는 인도네시아를 기반으로하는 인터넷결제 서비스인 Pundi-Pundi를 운영하고 있는 업체에서 만든 팀 입니다. 익히 들어 알고 있는 중국의 Alipay와 거의 유사한 모델로 인도네시아에서 서비스를 하는데, 백서에 의하면, 인도네시아에서 규모가 가장 크다고 합니다. 시작이 결제 모델이어서 이겠지만, 이 코인은 POS(Point Of Sales)기기를 통한 네트워크 확산에 초점을 맞추어 펀디엑스를 홍보하고 있습니다. POS단말기가 암호화폐 결제를 할 수 있도록 하여, 법정화폐로 결제를 하던, 암호화폐로 결제를 하던, 편리하게 소매점에서 물건을 하거나 서비스 이용료를 지불할 수 있게 하겠다는 것이죠. 의도는 좋습니다. 펀디엑스는 홈페이지에서 부터 오픈소스가 블록체인 커뮤니티를 강화 시킨다고 믿으며, ..
블로코(Blocko)라는 회사는 블록체인 업계에서는 매우 유명한 회사 입니다. 금융권, 대기업, 공공기관에서 다양한 분야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진행을 한 기업 입니다. 아무래도 이런 기관들의 특징은 퍼블릭 블록체인이 아닌,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원했기에, 그와 관련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현실 IT와 블록체인을 연결하려는 노력을 계속 해왔던 것 같습니다. 언제가 세미나에서 들은 이야기 중, 블록체인 자체가 보안이 강화된 일종의 솔루션인데, 고객사들은 보안을 강화 하라고 하여, 다양한 보안툴과 보안 장치 안에 집어넣으려는 지극히 현 상태의 IT환경에 억지로 끼워 맞추려는 형태로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애로사항을 들은적이 있습니다. 그 만큼 현업의 법제도 문제점, 조직과 블록체인 특성간의 GAP이 있다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들은 이미 온라인에 자산들이 등록되어 유통되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콘텐츠로 블록체인 생태계를 만들려는 움직임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한 움직임으로는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앞장서서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그 외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의 블록체인 생태계 적용에 대해서 여러가지 서비스들을 소개 시켜 드리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다양한 콘텐츠 종류 중에서 음악콘텐츠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생태계를 만들려는 기업이 있어서 소개해 봅니다. 이 플랫폼의 명칭은 뮤지카(Muzika)ㅇ며, 이 플랫폼의 런칭을 선언한 곳은 한국의 마피아컴퍼니(대표 정인서)라는 회사 입니다. 이번에 뮤지카에 대해서 살펴보다 보니, 제가 음악산업에 대해서 몰라도 너무 모르고 있었더군..